인권뉴스

HOME > 알림마당 > 인권뉴스

대학원생들, 주60시간 일해도 35시간만 인정…장학금도 못받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6-04 17:13
조회
498

| 정부 "학생연구원 권익보호" 외쳤지만…


| 근로시간 상한선 정해놓고
| 초과 근무해도 인정안해
| 시간외수당 받을길 사라져


| 한달내내 연구실서 일해도
| 손에 쥐는건 고작 60만원


| 학생에서 취업자로 전환돼
| 학자금대출도 바로 상환해야


 

◆ 부당계약에 우는 학생연구원 ◆



정부출연연구기관 B기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학생연구원 A씨는 최근 근로계약을 체결한 뒤 통장에 찍힌 실수령액을 보고 깜짝 놀랐다. 50만원 정도가 갑자기 줄었기 때문이다. 월급 내역서를 보니 4대 보험 개인 부담금(20만6390원)에 취업 후 상환 조건으로 대출받은 학자금 의무 상환액과 이자(30만5323원) 등이 추가로 빠져나간 것이다. 사정을 알고 보니 학생연구원 근로계약이 문제였다.





근로계약을 체결하면 근로자로 인정받아 건강보험 등 4대 보험 적용을 받으며 초과 근무를 하면 시간외수당, 야근수당도 받고 경력에 따른 연차수당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하지만 학생 신분으로 받았던 각종 장학금이나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대학(원)생 전세자금 대출, 생활비 지원 등 혜택이 끊긴다. 이런 사실을 몰랐던 B씨는 "등록금 분할납부액(62만5000원)과 월세, 통신비를 빼고 나면 수중에 60만원 정도가 남는다"며 "나를 비롯한 박사과정생 대부분은 30대 초중반으로 결혼 적령기인 사람이 대부분인데 이 돈으로는 결혼은 꿈도 못 꾸는 게 현실"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 다른 출연연 E기관의 박사과정 연구원 F씨는 어렵게 따낸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펠로십(GPF)` 장학금 수혜 혜택 때문에 근로계약 체결을 잠시 유보한 상태다. 장학금 자격 조건이 `전일제 학생 신분 유지`이기 때문이다. 근로계약을 체결하면 자격이 박탈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형평성을 들어 이런 학생들에 대한 예외 적용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F씨는 "장학금은 돈을 떠나 학업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한데 출연연에서 연구하는 학생들만 차별을 받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image_readmed_2019_354965_15589907043765344.jpg

이처럼 본래 취지와는 달리 학생 피해만 키우고 있는 근로계약 체결 이후 벌어진 부작용 때문에 연구 현장의 출연연 학생연구원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근로계약으로 나아진 점을 체감하기 힘든 상황에서 법적인 신분만 근로자가 된 기형적인 구조로 연구는 물론 생활까지 이전보다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

전문보기

출처: 매일경제